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Python/파이썬]007. 입력과 출력① / 파이썬 독학

컴퓨터/Python(파이썬)

by Dvlp_Jun 2020. 2. 19. 09:00

본문

안녕하세요? 제이스쿨 입니다.

오늘부터는 기초적인 입력과 출력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문제

 문자를 입력받아 출력하시오.

Ex) 입력 안녕하세요.

     출력 안녕하세요.

 

입력하는 방법은 더보기 클릭

더보기

코드를 잘 작성 하셨다면

아래 사진과 같이 Shell창에서

평소 코드를 실행했을때와 다른 점이 보이실 겁니다.

>>>와 같은 표시가 나타나지 않은 상태로

입력하고자 하는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시고

Enter 키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코드 출력화면

▶정답 코드

a=input()
print(a)

▶코드 분석

오늘은 처음으로 변수라는 걸 지정했습니다.

 위 정답코드를 예시로 보자면 a가 바로 변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변수란 '어떤 관계나 범위속에서 여러가지로 변하는 수' 라고 정의 됩니다.

쉽게 말해  '변하는 수' 입니다.

 

그렇다면 변수의 값은 어떻게 지정할까요?

위에서 보이듯 등호(=)를 이용하는데요,

저희가 흔히 알고 있는 '같다'는 의미의 등호가 아닌

'대입'의 의미의 등호란 점이 중요합니다.

 

이해를 위해 다음 그림을 참고해주세요.

그림과 같이 a와 3이 같아지는 것이 아닌

3이 a라는 변수에 대입되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다음으로 a= 다음에 있는 input()입니다.

input()은 입력을 받는 명령어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입력받은 숫자 혹은 문자를 a로 대입시켜 저장하는 것이죠.

저장하지 않는 데이터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두번 째줄을 보면 print(a)가 있습니다.

print()를 배운대로라면 큰따옴표가 없다는 점에서

의문이 생기실 수 있습니다.

 

큰따옴표(")가 있다면 a라는 문자를 출력하라는 것이지

a라는 변수의 내용을 출력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큰따옴표 없이 괄호()안에 변수a만을 써주는 것입니다.

 

 

*참고로 변수의 이름은 원하시는대로 정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파이썬에서 정해진 명령어를 변수로 정할 수는 없습니다.

만약 그럴 경우, 파이썬 해당 문자(혹은 숫자)를

변수의 이름이 아닌 그명령어를 사용한다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명령어를 배우고 바로 사용하는 것은

쉬우면서도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습과 반복, 이해가 중요합니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나 부족한 설명은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